
대용량 하드디스크를 다수 장착할 수 있는 NAS는 데이터를 백업하는데 최적화된 제품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기능들은 가정은 물론이고 특히 사무실에서 서로 데이터를 공유하거나 백업할 때 상당히 편리합니다. 그럼 이번 리뷰에서는 ASUS의 자회사인 아수스토어에서 출시한 프리미엄 NAS ASUSTOR AS6204T의 설치 방법과 백업 기능을 자세하게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ASUSTOR AS6204T에는 4개의 하드디스크 베이가 탑재되었는데 14TB 용량의 HDD를 4개 탑재한다고 가정하면 최대 56TB로 NAS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

하드디스크 트레이는 하단의 버튼을 눌러서 간편하게 분리할 수 있습니다. 설치 방법은 어렵지 않기 때문에 NAS를 처음 사용해본 분들도 바로 사용할 수 있습니다.

트레이를 살펴보면 양옆에 두 개의 나사 구멍이 준비되어 있는데 동봉된 나사를 이용해서 단단하게 트레이에 고정해 줄 수 있습니다. 원터치 방식과 비교하면 약간 불편하기는 하지만 더욱 단단하게 고정해서 소음을 줄일 수 있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ASUSTOR AS6204T와 같은 제품들은 씨게이트 아이언울프와 같은 NAS 전용 하드디스크를 장착하면 보다 안정적인 운영이 가능합니다. 그리고 최근에 14TB 제품이 출시되었는데 적은 하드디스크로도 대용량 NAS를 구축할 수 있습니다.

더욱 빠른 속도를 원하는 분들은 하드디스크 대신 SSD를 장착해서 캐시 용도로 활용할 수 있습니다. 데이터 저장이 주로 목표이신 분들은 하드디스크를 풀로 채우는 것을 추천합니다.

하드디스크 트레이에 HDD를 단단하게 고정한 후에 ASUSTOR AS6204T에 밀어 넣어주면 설치가 완료됩니다. 하드웨어 설치 과정 중에 특별히 어려운 부분은 없다고 생각되었습니다.

ASUSTOR AS6204T에 하드디스크를 설치했으면 전원과 인터넷 라인을 연결해주면 기본적인 과정은 완료됩니다. 그리고 사용하다가 전원 케이블 빠지면 데이터가 손상될 수 있으니 단단하게 고정할 수 있는 부품도 기본으로 제공됩니다.

모든 하드웨어의 설치가 완료된 후에 전원을 켜면 LED들을 통해서 상태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그리고 LED가 거슬리시는 분들은 ADM에서 조절해 줄 수 있습니다.

ASUSTOR AS6204T는 ADM이라는 전용 운영체제로 동작합니다. 그래서 사용하기 전에 미리 설치해주어야 하는데 우선 ACC라는 프로그램을 이용해서 네트워크에 연결된 NAS를 검색해보면 초기화되지 않음이라는 상태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ACC에서 ASUSTOR AS6204T를 선택하면 웹브라우저를 이용해서 ADM를 설치하라는 메시지가 표시됩니다. 설치 방법은 어렵지 않다고 생각되었습니다.

설치 페이지에서는 새로운 ADM을 검색하게 되는데 자동으로 설치됩니다. 그리고 베타 버전을 설치하기 원하는 분들은 수동으로 파일을 지정해주면 됩니다.

ADM의 설치 과정은 메뉴를 통해서 확인해 볼 수 있습니다. 그리고 초기화 과정 중에는 전원을 끄거나 하드디스크를 제거하지 않는 것이 좋을 것 같습니다.

ASUSTOR AS6204T에 ADM의 설치가 완료되면 기본적인 설정을 진행해 주어야 하는데 취향에 따라서 원 클릭 설치나 사용자 지정 설치 중에서 선택할 수 있습니다.

사용자 지정 설치를 선택하면 로그인 암호를 설정할 수 있는 메뉴가 표시되고 장착된 하드디스크의 RAID 레벨도 지정할 수 있습니다. 데이터 보호 기능을 필요에 따라서 설정할 수 있습니다.


ASUSTOR AS6204T는 ADM이라는 전용 운영체제를 통해서 동작하는데 윈도우처럼 그래픽 인터페이스로 제작되어서 NAS를 처음 사용해본 분들도 어렵지 않게 적응할 수 있습니다.

설정을 확인해 보면 시스템 포트나 로그인 스타일을 지정해 줄 수 있습니다. 설정들이 상당히 세분되어 있어서 자신의 사용 패턴에 따라서 ASUSTOR AS6204T를 커스트마이징할 수 있습니다.

하드웨어 메뉴를 확인해 보면 LED의 밝기나 부저 등을 설정할 수 있습니다. 그리고 하드디스크 절전모드 진입 시간이나 팬 속도 그리고 LCD 패널의 문구도 자신의 스타일에 따라서 변경할 수 있습니다.

제어판에서는 로컬 사용자나 그룹을 추가할 수 있습니다. 개인 사용자보다는 사무실에서 적합한 기능이라고 할 수 있는데 권한을 다르게 설정해서 다양한 방식으로 활용할 수 있습니다.

스토리지 관리자를 살펴보면 ASUSTOR AS6204T에 장착된 하드디스크의 숫자와 RAID 레벨 등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그리고 여름에는 온도를 확인하고 신경 써 주어야 합니다.

ASUSTOR AS6204T에 씨게이트 아이언울프 하드디스크를 장착하면 IHM이라는 아이언울프 헬스 매니지먼트 기능이 활성화됩니다. 내장된 하드웨어 센서와 소프트웨어를 통해서 지속해서 모니터링을 하는데 상당히 편리한 기능이라고 생각되었습니다.

시스템 정보를 확인해 보면 ADM나 바이오스의 버전이나 하드웨어적인 스펙들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특히 시스템 온도나 팬 속도를 살펴볼 수 있다는 점이 유용한 부분입니다.


이제부터는 ASUSTOR AS6204T에 데이터를 백업하는 다양한 방법들을 확인해 보도록 하겠습니다. 우선 ABP라는 프로그램을 이용하면 컴퓨터에 저장된 데이터를 백업할 수 있습니다.

만들기를 선택하면 네트워크에 연결된 ASUSTOR AS6204T가 자동으로 검색됩니다. 그리고 방화벽 때문에 검색이 제대로 되지 않을 때는 수동으로 IP를 입력해주면 됩니다.

백업 방법은 필요에 따라서 한 번만이나 동기화 그리고 예약 등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백업할 데이터의 종류에 따라서 방법을 설정해주는 것이 좋을 것 같습니다.

백업 설정이 완료되었으면 ABP 프로그램에서 상태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그리고 백업 방법은 하나가 아니라 여러 개를 지정해서 사용할 수 있고 복원 기능도 지원하기 때문에 사무실 등에서 유용할 것으로 예상합니다.

AES라는 프로그램은 데이터를 간편하게 동기화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역할을 합니다. 설정 방법은 ABP와 크게 다르지 않은 편이고 ASUSTOR AS6204T의 ADM의 앱을 통해서도 관리할 수 있습니다.

AES를 통해서 동기화된 데이터들은 EZ Sync Manager라는 ADM의 앱을 통해서 파일이나 로그 파일들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특히 파일 히스토리 기능과 휴지통 기능을 지원한다는 점이 유용한 부분입니다. 이러한 기능을 이용하면 파일이 수정되어도 이전 버전으로 되돌릴 수 있습니다.

ASUSTOR AS6204T의 ADM 자체에도 백업 기능을 내장하고 있는데 다른 서버나 FTP를 이용해서 백업하는 것은 물론이고 내부 백업 기능도 지원해서 보다 안전하게 데이터를 보관할 수 있습니다. 그리고 USB 장치를 통한 백업도 지원합니다.

최근 드롭박스나 원드라이브를 통해서 파일들을 관리하는 분들이 많은 편입니다. 그래서 ASUSTOR AS6204T에도 클라우드 서비스에 저장된 데이터를 저장하는 기능이 탑재되었습니다.

ASUSTOR AS6204T는 ADM이라는 전용 운영체제를 통해서 동작하는데 윈도우와 동일한 방식의 그래픽 기반이기 때문에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습니다. 그리고 백업 기능은 상당히 강력한 편이었는데 컴퓨터는 물론이고 다른 서버나 클라우드의 데이터까지 저장할 수 있다는 점이 유용한 부분이라고 생각되었습니다. 그럼 다음 리뷰에서는 저장된 데이터를 활용하는 방법을 확인해 보도록 하겠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