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DJI는 세계 최대의 드론 회사인데요. 핫셀블라드까지 인수하면서 카메라 화질 부분에서도 최고 수준의 성능을 제공하고 있습니다. 그리고 DJI 드론의 종류는 정말 어마어마하게 많은데요. 이번 포스팅에서는 나를 따라다니면서 동영상을 촬영할 수 있는 일종의 플라잉 카메라맨이라고 할 수 있는 DJI Neo 2 드론의 특징을 자세하게 확인해 보도록 하겠습니다.
“다양한 패키지 제공”

DJI Neo 2 드론 기계 단품 : 295,000원
DJI Neo 2 플라이 모어 콤보 (기체 단품) : 395,000원
DJI Neo 2 플라이 모어 콤보 : 493,000원
DJI Neo 2 모션 플라이 모어 콤보 : 731,000원
DJI Neo 2 드론은 다양한 판매 옵션을 제공하는데요. 자신의 필요에 맞춰서 제품을 구매할 수 있습니다. 그리고 기계 단품의 경우에는 295,000원으로 가격이 책정되었는데요. 1세대 제품과 비교해서 5만원 정도 가격이 상승했습니다.
“콤팩트한 사이즈”

DJI Neo 2 드론은 콤팩트한 사이즈로 제작되었는데요. 무게까지 151g으로 가벼운 편이어서 부담 없이 휴대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그리고 풀 커버 프로펠러 가드가 적용되어서 비교적 안전하게 가지고 다닐 수 있습니다.
“손바닥 이륙 & 착륙”

DJI Neo 2 드론의 가장 큰 장점은 다양한 방식으로 제어할 수 있다는 점인데요. 제스처 컨트롤은 물론이고 모바일을 이용한 음성 제어와 DJI RC-N3 조종기와 모션 컨트롤러까지 지원합니다. 자신의 사용 패턴에 따라서 다양하게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보입니다.
“1/2인치 이미지 센서”

DJI Neo 2 드론에는 1/2인치 CMOS 이미지 센서가 탑재되었는데요. 조리개는 f/2.2이고 35mm 환산으로 16.5mm의 초점 거리를 제공합니다. 사진은 12MP 4000 x 3000까지 촬영할 수 있고 동영상은 4K 60fps까지 가능합니다. 그 외에도 2축 짐범을 지원한다는 점도 주목해 보아야 할 부분입니다. “12m/s의 속도”

DJI Neo 2 드론은 12m/s의 속도로 비행할 수 있습니다. 그래서 러닝이나 사이클을 촬영하는 목적으로도 활용할 수 있습니다. 그리고 크기는 작은 편이지만 전방 LiDAR와 하향 적외선 감지 시스템을 통해서 주변 장애물을 가짐하고 회피할 수 있는 시스템을 탑재했습니다.
“49GB 내부 저장 공간”

DJI Neo 2 드론은 49GB 용량의 내부 저장 공간을 제공해서 별도의 외부 메모리 없이도 장시간 4K 동영상 촬영이 가능합니다. 상당히 편리한 기능 중에 하나라고 할 수 있습니다.
“비행 시간 19분”

그리고 최대 19분 정도 비행할 수 있는데요. 손바닥에서 이륙과 착륙을 20회 이상 연속 수행할 수 있다고 합니다. 이 정도라면 여행을 갔을 때 간단하게 사용하기에 크게 부족함은 없을 것 같습니다.
“전원 충전”

DJI Neo 2 드론은 내부 USB-C 포트를 통해서 간단하게 충전할 수 있고 플라이 모어 콤보를 구매하면 제공되는 양방향 충전 허브를 이용해서 총 3대의 배터리를 동시에 충전할 수 있습니다.
“QuickTransfer”

DJI Neo 2 드론은 전용 앱을 통해서 최대 80MB/s의 속도로 영상을 바로 확인할 수 있는 기능을 지원합니다. 2.4GHz와 5.8GHz 주파수 대역을 지원하는 국가에서만 최대 속도로 사용할 수 있는데요. 국내에서는 안 될 가능성이 있습니다.
“내풍 가능 최대 풍속”

DJI Neo 2 드론은 최대 10.7m/s의 바람에서도 안정적으로 호버링할 수 있다고 하는데요. 인공지능에게 물어보니 사람이 걷거나 달리는 때 느껴지는 바람보다는 강하고 작은 나무들이 흔들리는 정도라고 합니다.
“리턴 투 홈(RTH)”

DJI Neo 2 드론에는 리턴 투 홈 기능이 탑재되어서 자동으로 출발 지점으로 복귀할 수 있습니다. 초창기 제품들이 RTH 기능이 없어서 분실할 확률이 높았는데요. DJI Neo 2 드론은 복귀 중에도 장애물을 감지할 수 있다고 합니다.
“플라잉 카메라맨”

DJI Neo 2 드론은 가볍게 가지고 다니면서 일종의 셀피 드론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제작된 제품입니다. 특히 2세대 제품은 짐벌이 1축에서 2축으로 변경되고 4K/30fps에서 4K/60fps로 개선되는 등 많은 기능이 추가되었습니다. 그리고 기체 단품의 가격도 크게 부담이 되는 편은 아니어서 여행할 때 활용할 드론이 필요한 분들에게는 메리트가 있을 것으로 예상합니다.
